본문 바로가기
기업탐구생활

셀트리온: 대한민국 바이오 혁신 기업의 성장과 글로벌 도전

by shongx2 2025. 3. 31.
반응형

 

 

셀트리온(Celltrion)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 및 항체 의약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 세계 시장에 진출한 셀트리온의 역사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셀트리온의 창립과 성장 과정

셀트리온은 2002년 서정진 회장이 설립한 바이오 의약품 전문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글로벌 제약사의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위탁생산) 사업을 했으나, 이후 자체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집중하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 2002년: 셀트리온 설립
  • 2009년: 인천 송도 바이오 공장 완공
  • 2012년: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유럽 승인
  • 2016년: 램시마 미국 FDA 승인
  • 2018년: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허쥬마 유럽 승인
  • 2021년: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 개발
  • 2023년: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

2. 셀트리온의 핵심 사업 분야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항체 의약품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바이오시밀러는 기존 바이오 의약품과 동등한 효능을 지닌 복제약으로, 셀트리온은 다음과 같은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 램시마(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 트룩시마(리툭산 바이오시밀러): 혈액암 치료제
  • 허쥬마(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방암 치료제
  • 베그젤마(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대장암 치료제
  • 유플라이마(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② 신약 개발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외에도 신약 개발에 집중하며 글로벌 제약사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③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를 개발하여 팬데믹 대응에 기여했습니다.

3. 셀트리온의 글로벌 경쟁력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개발
  • 미국 및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 점유율 확대
  • 자체 생산 공장 보유로 원가 경쟁력 확보

4. 셀트리온의 미래 전망

셀트리온은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시장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① 글로벌 시장 확대

미국, 유럽을 넘어 아시아, 남미 시장까지 바이오시밀러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② 차세대 바이오시밀러 개발

자가면역질환, 항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③ 신약 개발 및 면역치료제 연구

기존 바이오시밀러 중심에서 벗어나 신약 개발 및 면역치료제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④ 셀트리온그룹 통합 시너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으로 글로벌 유통망을 강화하고, 셀트리온제약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5. 결론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향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